메뉴 건너뛰기

창간호 두뇌한국 21사업을 비판한다

2001.10.12 16:34

김세균 조회 수:1261 추천:2

'두뇌한국21'비판(김세균)

'두뇌한국21(Brain Korea 21) 사업'을 비판한다

김 세 균(서울대 교수, 정치학)

[이 글은 6월 23일 서울보건대학원에서 열린 민교협 주최 토론회에서 발표되었던 글입니다.]

교육부가 '21세기 지식사회를 대비한 고등인력양성사업'으로 추진하려 하는 '두뇌한국21 사업에 대한 비판과 저항이 전국의 많은 대학교수들로부터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지난 6 14일에 열린 '전국국공립대학교교수협의회'와 '전국사립대학교수협의회연합회'가 주최한 'BK21, 반민주적 대학정책의 전면개혁을 위한 전국교수대회'의 열기는 그러한 비판과 저항이 얼마나 강한 지를 보여주었다. 그런데 그러한 대회에서 확인되는, 'BK21사업'에 대한 그간의 비판의 초점은, BK21사업이 극소수 대학만을 집중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라는 , 그로 인해 사업의 추진은 일부 극소수 대학중심의 독과점적 대학구조와 수직적 대학서열구조를 강화시키고 서울대를 비롯한 몇몇 소수대학을 제외한 전국의 대다수 대학들을 한층 황폐화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 모여 있다. 나는 이러한 비판이 매우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BK21사업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모든 대학의 균등발전 전략'을 추구하기보다는 철두철미 '불균등발전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간 한국에서는 대학이 -공립과 사립으로 나누어지는 가운데 대학간의 차이와 불균등 발전이 심화되어 왔으며, 사립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공립대학에 다니는 학생들보다 많은 등록금을 내고 다녀야 하는 불이익을 당해 왔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교육부가 이제는 그야말로 '목적의식적으로' BK21사업과 같은, 대학들간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게 되면, 선정된 소수의 연구중심대학 탈락된 다수의 대학들간의 격차는 앞으로 더욱 커지고, 탈락된 다수 대학에 다니는 교수와 학생들이 입는 불이익 역시 더욱 크게 증대하지 않을 없다는 것은 불문가지의 일이다. 이와 관련해 우리는 소수 재벌에게로 경제력을 집중시키고 중소기업들을 빈사상태로 내몬 국가의 그간의 경제발전정책이 오늘날 한국경제의 체질을 얼마만큼 허약하게 만들고 있는가를 상기할 필요가 있는데, 교육부의 정책은 바로 그러한 경제정책의 우를 다시 답습하는 것이다. 더욱이 교육부의 안은 "대학간 연구역량의 평균화 경향이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외면한 극소수의 대학에 대한 특혜를 위해 대다수 대학의 성장 잠재력을 부정하고 있는 방안"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서울대 등은 BK21사업의 혜택을 보는 대학이라는 관점이 앞서 있어서 서울대 등이 사업에 참여할 무엇을 대가로 지불해야 하는가를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BK21사업은 사업의 지원을 받게되는 소수대학과 받지 못하는 다수 대학들 간의 격차를 돌이킬 없을 정도로 확대시킬 뿐만 아니라 사업의 지원을 받는 대학에서의 학문연구의 자유와 대학운영의 자율성을 심대하게 침해하고, 지원을 받게되는 대학의 학문공동체를 내부적으로 와해시키는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점에서 (적어도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BK21사업에의 참여는 '배부른 자의 고민'과는 전혀 다른, '돈을 얻기 위해 자신의 영혼을 팔고 자신을 내부적으로 망가뜨리는' 것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나는 BK21사업에 참여할 경우 대학이 무엇을 대가로 지불해야 하는가를 주로 인문사회분야에서 제기될 있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지적해 보려고 한다.

1. BK21사업은 '학문연구의 자유'를 심대하게 침해하고 대학원교육을 크게 왜곡하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BK21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은 재정적 특혜를 누릴 있게 되고, 예를 들어 참여하는 -박사학생들도 매달 40-60만원의 지원을 받게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교육부는 (단지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긴 하지만) '21세기 선진형 사회제도를 구축하는 데에 필수적인 인문사회 분야'로서 한국학분야, 문화분야, 동아시아분야, 사회발전분야, 정보-지식사회기반분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중점연구분야가 매우 자의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점은 별도로 친다고 하더라도, 이른바 특정 대학들을 특정 분야의 연구와 교육이 중심적으로 행해지는 대학으로 만들겠다는 발상 자체가 이미 학문연구의 자유를 크게 침해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부는 교과과정을 BK21사업의 추진에 적합하도록 개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BK21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의 교수와 대학원생들은 연구의 구체적인 주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척시킴에 있어 처음부터 크게 구속당하지 않을 없는데, 이는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인문사회과학의 발전을 결정적으로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 없다. 나아가 (1)교육-학사 단위가 바로 연구프로젝트사업 추진을 위한 기구로 변하게 됨으로써 교육과 학사 업무가 연구프로젝트 사업에 대해 지녀야 '자립성'이 없어지고 크게 왜곡되지 않을 없다는 , (2)참여하는 연구-교수인력 역시 계속 단기적 성과를 내야 하는 프로젝트사업에 매달리게 됨으로써 -장기적 연구를 추진하기 어려워진다는 , (3) 교수들의 연구가 프로젝트 작업에의 참여로 축소되어서는 된다는 등도 지적되어야 한다.

2. BK21 사업에의 참여는 교육관료에 의한 대학통제와 대학관리를 강화하기 때문에 대학의 자율성이 심대하게 훼손 당하는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BK21사업의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려면, '연구인력양성사업단'을 구성해 교육부에게 사업계획을 제출해 심사를 받고 제도개혁을 위한 협약을 정부와 체결해야 하며, 선정된 이후에도 사업성과와 제도개혁 관련사항에 대한 점검 중간평가를 교육부로부터 받아야 한다. 나아가 평가 결과 성과가 저조한 사업단 내에서 하위 20% 이내의 과제를 중도 탈락시키고 만큼의 지원자금을 성과가 좋은 사업단으로 이체시킨다는 계획이 제출되어 있다. 이로부터 우리는 BK사업의 추진이 (관리하려는) 대상을 설정해 대상을 집중 관리하는 이른바 'MBA'(management by objectives) 일종임을 있는데, 실제로 BK21사업을 통해 정부는 연구인력양성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을 미끼로 하여 선정된 특정 대학들을 거의 모든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통제할 있는 통로를 획득하게 된다. 그런데 교육관료에 의한 대학통제와 대학관리의 강화는 결국 대학자율성의 심대한 훼손을 가져오지 않을 없고, 대학자율성의 훼손은 결국에는 '사회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사명으로 하는 인문사회과학의 위기를 불러일으키지 않을 없다.

3. 교육부는 BK21사업의 추진을 '교육노동유연화 정책'으로 대변되는 정부의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에 대한 교수들의 저항을 무력화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교육부는 BK21사업에의 참여를 대학 차원에서의 이른바 '제도개혁'과 연계시키고 있는데, 제도개혁 협약사항에는 연구중심대학으로의 개편과 관련되는 사항만이 아니라, 교수업적 평가와 인사(승진, 정년제) 급여 (연봉제 )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부는 1999년부터 교수업적 평가제를, 2000년부터 연봉제와 정년보장제도의 개선을 실시하고, 교수계약제는 2002년부터 도입하여 2003년까지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방안의 강구는 교육부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교육노동유연화정책'의 일환이라고 있다. 교육노동유연화 정책은, 다른 모든 노동유연화 정책과 마찬가지로, 한편으로는 교원들의 연구활동 등을 ' 많은 소득을 얻기 위한 교원들간의 경쟁'으로 변질시킴으로써 교원들간의 연대와 협력관계의 조성을 어렵게 만들고, 교원들의 신분을 임시직 근로자직으로 전락시켜 교원들이 신분에 대해 항상적으로 불안에 빠지도록 만든다 - 그런 만큼 이러한 정책은 교수들에 대한 위로부터의 통제를 용이하게 만들지만 -. 다른 한편으로는 업적이 많은 사람에게는 많은 보수를 약속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지급봉급 총액을 삭감하고 비용을 최대한 절감한다는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교원노동유연화정책의 추진은 교원들의 강력한 항의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BK21사업에의 참여가 그러한 정책의 자발적 수용을 협약사항에 포함시키고 있기 때문에 참여를 신청하는 자체가 그러한 저항을 포기하겠다는 각서를 교육부에게 미리 제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게다가 교육노동유연화 정책은 (교원의 생활비와 신분을 보장하는 가운데 교원 자신의 자율적 규제와 교원에 대한 도덕적-사회적 규제의 확대를 통해 교원들의 연구능력 등을 높여 나가려 하기보다는) 경제적 유인을 미끼로 내세워 교원들을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도록 강제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러한 정책의 강행은 학문의 성격상 한편의 좋은 연구성과를 내기 위해서도 장기간 또는 평생에 걸친 연구를 요구하는 기초학문 분야의 연구를 한층 피폐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을 없다.

4. BK21사업에 참여하게 되면 대학은 대학 구성원 전체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구성원 전체를 구속하게 되는 협약사항 등을 충족시켜 나가야 의무를 지니게 된다. 점에서 BK21사업에 참여하려면 특정대학의 교수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8 [블로그에서1] 2008대학입시 안습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26
347 [특집] Q&A - 대학평준화, 오해와 진실 file 진보교육 2007.09.22 1064
346 [특집] 박스기사 - 베네수엘라 대학입시 전면폐지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23
345 [특집] 지극히 상식적이고 현실적인 길, 대학평준화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10
344 [특집] ‘국민운동본부’, 입시폐지-대학평준화로 교육변혁의 대장정에 나서다! file 진보교육 2007.09.22 1082
343 [만평] 사람잡는 그들의 '뻘짓'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10
342 [정세] 2007-8 시기와 입시폐지-대학평준화운동 file 진보교육 2007.09.22 1129
341 [포토스토리] 입시폐지-대학평준화 말말말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03
340 [권두언] 다시 ‘초심’을 가지고 입시폐지-대학평준화 투쟁에 나서자! file 진보교육 2007.09.22 1403
339 회원용읽을거리모음 2007.7 file 진보교육 2007.07.10 1558
338 열공_교육노동운동의 이해를 위하여 file 진보교육 2007.06.19 1438
337 쓰레기_차별주의, 그 마음의 습관 file 진보교육 2007.06.19 1412
336 해외는 지금_만인을 위한 고등교육: 베네수엘라의 볼리바르 혁명* file 진보교육 2007.06.19 1576
335 현장에서_'새내기 교사, 전교조를 만나다' file 진보교육 2007.06.19 1373
334 현장에서_이제 노동자의 이름으로, 학부모의 이름으로 새롭게 시작합시다. file 진보교육 2007.06.19 1997
333 현장에서_울산과학대 투쟁이 남긴 것 file 진보교육 2007.06.19 1315
332 현장에서_사학법 재개정 저지를 넘어 사학 국공립화의 대장정을 file 진보교육 2007.06.19 1116
331 담론과 문화_ 21세기, 일방적 영웅의 시대 file 진보교육 2007.06.19 1309
330 담론과 문화_ 스페인 프리메라 리가 file 진보교육 2007.06.19 1850
329 담론과 문화_ [블로그에서] 보건복지부 “다산정책”에 대해 file 진보교육 2007.06.19 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