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열공] 사회주의 교육강령을 목표로

---------------21C 사회주의 교육 연구모임

처음 [21C 사회주의 교육연구]팀에 참여하게 된 것은 지역동지 한 분이 강의를 들으러 가자고 해서 였다. 마침 부천에서 진행하는 다음 학습 주제와 관련이 있어,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부천 학습팀이 강의를 들으러 갔다. 그 다음 모임도 그 다음 모임도 사실은 부천 학습의 심화 형태로 생각하고 나갔다. [21C 사회주의 교육연구]팀의 처음 구성원들은 이름을 들으면 알만한 사람은 다 모인 팀이라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으면 되겠구나 생각했었는데, 굿은 흥에 겨웠고 떡은 보약같았을 뿐 아니라 더 이상 관객의 입장에서만 바라볼 수 없게 하는 흥겨움이 있었다. 어떤 모임이든 처음과 같은 의욕이 지속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닐텐데, 계속 팀원이 늘어나고, 3주에 한 번씩 하자던 모임도 팀원들의 열성에 거의 2주에 한 번씩은 모이게 되고, 처음에 세웠던 계획 이상으로 학습량도 늘어났지만, 처음 가진 의지가 꺽인 사람들은 없는 것 같다. 오히려 모임에 대한 의지는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단순히 참여하는 사람들이 성실한 사람들이고 잘난 사람들이어서가 아니라 공부하면 할수록 조금씩 그 모습을 들어내는 사회주의 교육강령에 대한 희망 때문이다.
연구 목표
❍ 학벌사회, 자본에 의한 양극화로 인하여 빈곤이 대물림되는 참혹한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에 부와 권력을 분배하는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 현실사회주의의 교육체제와 북유럽사민주의 그리고 남미의 새로운 시도를 개괄하고 교육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문제를 탐색한다.
❍ 사회주의 교육의 상을 마련하고 사회주의 이행 이전 교육을 통한 이행 또는 전환의 방안을 마련한다.
❍ 연구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종리하여 출판을 하며 변혁적 계급정당의 교육강령으로도 정리하여 제안한다.
 
연구 지점
❍ 2007 신자유주의 세계화 자본주의에서의 교육
❍ 현실 사회주의에서의 교육체제와 교육에 관한 새로운 실험들 : 남미와 북유럽 사민주의
❍ 사회주의 이행기 쟁점과 국가
❍ 교육체제 운영주체의 문제 : 국가와 사회
❍ 교사의 교육노동과 학생의 학습노동의 성격 규정
❍ 교육 결과의 사회적 적용과 권력배분
❍ 교육을 통한 이행의 모색 등
 
연구 방법
❍ 단계별로 자료를 정해서 읽고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
❍ 주제를 수행하기 위해 4개의 세부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
- 사회주의에 대한 이해 (국가, 소유, 계급, 주체, 민주주의 등의 개념 정리)
- 한국사회 및 자본주의에서의 교육 (자본에 의한 재생산, 국가의 개입, 신자유주의 등)
- 현실사회주의 및 남미에서의 교육 (소련과 동유럽, 현재 유럽 및 북유럽, 남미 등)
- 사회주의 교육의 상과 이행 전략
❍ 매 단계별 시작은 전문가를 초대하여 전체를 개괄하고 연구지점을 확인하며, 이후 세 차례의 연구 모임을 진행한다.
 
우리는 이렇게 공부했습니다.

1차 사회주의 기본 이해를 위한 강의 남구현(한신대학교교수)

2차 자본주의 국가이론
- [전략관계적 국가이론, 밥제솝, 한울 출판사] 제1부 개관 1. 최근의 자본주의 국가 이론

3차 주요 이론가: 맑스, 그람시, 알뛰세, 플란차스
- [국가와 정치이론, 마틴 카노이저, 이재석외 옮김, 한울 출판사]제3장 그람시와 국가, 제4장 구조주의 국가(알뛰세와 플란차스)

4차 한국 사회의 성격과 국가 그리고 이행전략Ⅰ
-손호철, "김영삼정권의 국가성격"
-[최장집, 민주화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제5장 민주화 이후의 국가

5차 한국 사회의 성격과 국가 그리고 이행전략Ⅱ
-한국사회의 성격과 이행전략 강의 박영균(건국대 강사)

6차 한국 사회의 성격과 국가 그리고 이행전략Ⅲ
-손호철 교수의 “한국국가 성격 논쟁의 재조명”
보조자료 김세균 교수 “사회변혁과 국가 변혁”

오래 전 대학 학생회 선거 교육부문 슬로건으로 썼던 문구가 생각이 났다. “자본의 심장에서 교육을 꺼내어 민중의 무기로” 좀 살벌하긴 했지만, 자본이 원활하게 자기 배를 불릴 수 있게 밑거름이 되어주는 교육을 탈출시켜야겠다는 막연한 의지만을 가지고 만든 슬로건이다. 그 때의 실현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과제가 ‘사회주의 교육 강령’이라는 이름으로 현실화되기를 희망하며 앞으로 함께할 시간들을 기대해 본다.

앞으로는 무엇을 공부하게될까? 이런 공부를 오랫동안 숙원하고 있었던 많은 동지들,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진보교육연구소로 문의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뜨거운 감자] “성과급”의 재구성 file 진보교육 2007.09.23 2598
27 [초점] 2007년 대선, 교육 정책의 화두는? file 진보교육 2007.09.23 1462
» [열공] 사회주의 교육강령을 목표로 - 21C 사회주의 교육 연구모임 file 진보교육 2007.09.22 1806
25 [서평] 『88만원 세대』, 우리 제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하여 file 진보교육 2007.09.22 1703
24 [블로그에서2] 아줌아의자리 / 줄 file 진보교육 2007.09.22 1494
23 [쓰레기] 이랜드 자본과 조중동 file 진보교육 2007.09.22 1578
22 [해외는지금] 만인을 위한 고등교육: 베네수엘라의 볼리바르 혁명(2) file 진보교육 2007.09.22 1744
21 [해외는지금] 중국의 오늘과 내일 file 진보교육 2007.09.22 1629
20 [논단] 대학 구조조정이 가져온 변화 file 진보교육 2007.09.22 1710
19 [현장르뽀] 진리는 없고 돈만 남은 대학 file 진보교육 2007.09.22 1666
18 [현장르뽀] 전국 지자체들의 입시 사교육 시키기 경쟁실태 file 진보교육 2007.09.22 1963
17 [담론과문화] 학벌 사회, 또 하나의 MATRIX? file 진보교육 2007.09.22 1391
16 [담론과문화] 한스 아이슬러에 주목한다. file 진보교육 2007.09.22 1772
15 [담론과문화] ‘여’교사 그리고 미디어 file 진보교육 2007.09.22 2006
14 [담론과문화] 학력 위조 권하는 사회, 누가 이들에게 돌을 던질 것인가 file 진보교육 2007.09.22 1564
13 [맞짱칼럼] 땅콩선생, 인권교육 사수기 file 진보교육 2007.09.22 1760
12 [진보칼럼] 자전거 전국일주에 나선 까닭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42
11 [게시판에서] 대학평준화 꿈이 아닙니다. file 진보교육 2007.09.22 1604
10 [현장스케치] 자전거가 간다 - 목포강연회 file 진보교육 2007.09.22 1319
9 [블로그에서1] 2008대학입시 안습 file 진보교육 2007.09.22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