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촛불 국면의 물꼬를 튼 청소년, 그들이 다시 왔다.

최정민 ‖ 서라벌중

4월 19일을 즈음하여 당시 운동 참가자의 증언과 회상이 한시간짜리 다큐로 공중파방송에서 흘러나온다. 휴일을 만끽하며 삐딱한 자세로 느슨하게 본다. 서울대와 동국대앞에서 ‘형님들, 지금 공부할 때인가, 나가자’ 선동했다는 당시 대광고 고등학생, 중씰한 영감님의 회상장면을 보며 찌릿하다.
그것인 일종의 전조였다. 정확히 13일후 ‘그들’이 왔다. 일부는 사복으로, 일부는 교복을 입은 채로, 어기적거리며 흐르는 청계천의 물소리를 대번에 압도했다.
지금 대한민국엔 하나의 유령이 떠돌고 있다. 어른이라는 작자들 거의 모든 세력이 연합하여 이 유령을 때려잡기 위해 성스러운 몰이에 나섰다. 대통령과 교과부장관, 조중동과 보수교회, 교육감들과 교장들, 대한민국 경찰들이 말이다. 어렸을 때 ‘조용히 입닥치고 공부나해’ 비난받아보지 않았던 어른들이 어디 있으며 ‘니가 얘냐’며 낙인을 찍혀보지 못한 어른들이 어디 있겠는가?  
그런 ‘얘들’이 공공연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외치고 있는 것이다. 전율이다. ‘미친 교육’의 희생자이면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아이들, 자신의 생각보다 출제의도가 더 중요했던 아이들이 이제는 자신의 목소리로 나섰다.

청소년운동의 역사가 이제 다시 쓰여지고 있다. 그들이 몰려온다.

구치소로 연행되는 여학생(사진출처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사업회)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은 퇴학 582명, 무기정학 2,330명, 검거 당한 사람이 1,462명이나 되는 엄청난 숫자였다. 우발적 패사움이 아니라 이미 명치절 행사에 일제국가를 부르지 않고 침묵 시위했던 울분이 폭발된 사건이었다.

항거하는 수송초등학교 초등생

그리고 1960년 4월 19일 대학생 형들에게 행동하라며 청소년들은 준엄히 꾸짖었고 또한 거리에서 피를 흘렸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고등학생이 총을 들었다. 보송보송한 솜톨에 여름이 활개한 고삐리에게 폭도라는 무시무시한 이름이 호명되었다.


1989년 전교조 선생님을 지키기 위해 닫힌 교문을 열며 그렇게 싸웠다. 선생님은 떠났지만 몇 년 후 반민자당 투쟁의 거리를 그들이 메웠다.


그리고 2008년  ‘미친소, 미친교육’ 정책에 분노하며 휴대폰, 인터넷으로 무장한 그들이 용수철처럼 튀어나온다. 그리고 자유분방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말한다. 수행평가 몇 점에 애걸복걸하고, 남친의 무심함에 속상하고, 연예인 팬클럽에 열심인 아이들이어서 더욱 비정치적이고 더욱 이기적이라고 여겼던 그들이 가장 정치적이고 가장 전투적 집단으로 부각된다.

교육운동의 주체가 교사에서 학생으로 바뀌고 있다. 그들의 배후라고 찬사?를 받은 전교조는 연이은 좌절과 패배감에 침잠하고 있다. 현장투쟁이라는 명목으로 골치 아픈 일은 분회장의, 분회의 고유 업무가 된지 오래다. 친목단체치고는 만나는 횟수도 적다. 모처럼 학생의 진출에 고무받고 있지만 예전 체력을 회복하기에는 노력해야 할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프랑스에서는 고교생의 파업에 교사노조가 연대파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계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다. 또한 교과부-교육청-교장-간부교사로 이어지는 관제라인의 협박과 탄압도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어느 어느 순간 기세가 꺽이고,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도 있다. 정말 중요한 건 공동의 목표를 그림으로 그려내야 한다. 하루하루를 힘겹게 만드는 입시제도에 관한 새로운 상상이다. 광우병 문제가 아이들을 촉발시킨 것은 일상에 대한 공포였기 때문이다. 공포영화는 한순간이지만 매일 매일 먹는 밥상에서 죽음의 그림자를 느낀다는 것과 매일 매일의 시험 준비에서 죽을 것같은 고통을 느낀다는 것은 참을 수 없는 분노로 폭발된다.

공동의 분노가 표출되었다. 이제는 공동의 목표를 그려내야 한다. 입시폐지, 대학평준화에 거는 기대가 이번만큼 집중될 때가 늘 오는 건 아닐게다. 지도가 아니라 오히려 그들에서 배움을 받자. 발랄한 언표와 기발한 아이디어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8 [권두언] “솔직히 싸우기 싫으니까 마땅히 싸우는 거야” file 진보교육 2008.04.07 2002
1347 담론과 문화_영국의 프리미어 리그 file 진보교육 2007.04.11 2002
1346 특집1_ 교육불평등을 타파하기 위한 반격을 시작하자! file 진보교육 2007.04.11 2002
1345 기획2_최근 노동운동의 흐름에 대한 몇 가지 생각 file jinboedu 2005.10.10 2001
1344 현장에서_칸쿤투쟁 참가기 file jinboedu 2003.11.07 2001
1343 여우야 여우야 정은교 2001.10.12 2001
1342 현장에서_이제 노동자의 이름으로, 학부모의 이름으로 새롭게 시작합시다. file 진보교육 2007.06.19 1997
1341 읽을거리_사월의 싸늘함, 그 모순된 감정을 그리며 file jinboedu 2005.04.18 1997
1340 [현장에서] 우리 아이가 갈 학교를 빼앗지 마라! file 진보교육 2009.07.13 1993
1339 [기고] 이명박시대에서 살아날 길 file 진보교육 2008.04.07 1993
1338 [기획] 1. 핵심역량과 '발달-해방'의 교육 file 진보교육 2016.12.20 1989
1337 신지식인론의 등장과 신자유주의와 진보교육의 패러다임 file 천보선 2001.02.08 1983
1336 [정세] 2009년 정세 - 세계적 경제위기에 맞서 주체적 역량 결집을! file 진보교육 2009.03.25 1980
1335 [블로그에서2] 논술이 대체 뭐간데.. file 진보교육 2008.01.07 1977
1334 특집1_ 표와 그래프로 본 교육불평등 file 진보교육 2007.04.11 1974
1333 [정세분석] 촛불 시위 : 극적인 반전의 드라마가 계속되고 있다. file 진보교육 2008.06.26 1973
1332 [담론과문화] 숭례문 화재, 누구탓인가? file 진보교육 2008.04.07 1967
1331 [특집] 2008년! 대학평준화 운동, 전진과 후퇴의 기로에 서다! file 진보교육 2008.04.07 1966
1330 이규환교수와의만남 박영진 2001.04.26 1966
1329 [현장르뽀] 전국 지자체들의 입시 사교육 시키기 경쟁실태 file 진보교육 2007.09.22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