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열공] 사회주의 교육강령을 목표로

---------------21C 사회주의 교육 연구모임

처음 [21C 사회주의 교육연구]팀에 참여하게 된 것은 지역동지 한 분이 강의를 들으러 가자고 해서 였다. 마침 부천에서 진행하는 다음 학습 주제와 관련이 있어,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부천 학습팀이 강의를 들으러 갔다. 그 다음 모임도 그 다음 모임도 사실은 부천 학습의 심화 형태로 생각하고 나갔다. [21C 사회주의 교육연구]팀의 처음 구성원들은 이름을 들으면 알만한 사람은 다 모인 팀이라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으면 되겠구나 생각했었는데, 굿은 흥에 겨웠고 떡은 보약같았을 뿐 아니라 더 이상 관객의 입장에서만 바라볼 수 없게 하는 흥겨움이 있었다. 어떤 모임이든 처음과 같은 의욕이 지속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닐텐데, 계속 팀원이 늘어나고, 3주에 한 번씩 하자던 모임도 팀원들의 열성에 거의 2주에 한 번씩은 모이게 되고, 처음에 세웠던 계획 이상으로 학습량도 늘어났지만, 처음 가진 의지가 꺽인 사람들은 없는 것 같다. 오히려 모임에 대한 의지는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단순히 참여하는 사람들이 성실한 사람들이고 잘난 사람들이어서가 아니라 공부하면 할수록 조금씩 그 모습을 들어내는 사회주의 교육강령에 대한 희망 때문이다.
연구 목표
❍ 학벌사회, 자본에 의한 양극화로 인하여 빈곤이 대물림되는 참혹한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에 부와 권력을 분배하는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 현실사회주의의 교육체제와 북유럽사민주의 그리고 남미의 새로운 시도를 개괄하고 교육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문제를 탐색한다.
❍ 사회주의 교육의 상을 마련하고 사회주의 이행 이전 교육을 통한 이행 또는 전환의 방안을 마련한다.
❍ 연구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종리하여 출판을 하며 변혁적 계급정당의 교육강령으로도 정리하여 제안한다.
 
연구 지점
❍ 2007 신자유주의 세계화 자본주의에서의 교육
❍ 현실 사회주의에서의 교육체제와 교육에 관한 새로운 실험들 : 남미와 북유럽 사민주의
❍ 사회주의 이행기 쟁점과 국가
❍ 교육체제 운영주체의 문제 : 국가와 사회
❍ 교사의 교육노동과 학생의 학습노동의 성격 규정
❍ 교육 결과의 사회적 적용과 권력배분
❍ 교육을 통한 이행의 모색 등
 
연구 방법
❍ 단계별로 자료를 정해서 읽고 토론을 진행하는 방식
❍ 주제를 수행하기 위해 4개의 세부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
- 사회주의에 대한 이해 (국가, 소유, 계급, 주체, 민주주의 등의 개념 정리)
- 한국사회 및 자본주의에서의 교육 (자본에 의한 재생산, 국가의 개입, 신자유주의 등)
- 현실사회주의 및 남미에서의 교육 (소련과 동유럽, 현재 유럽 및 북유럽, 남미 등)
- 사회주의 교육의 상과 이행 전략
❍ 매 단계별 시작은 전문가를 초대하여 전체를 개괄하고 연구지점을 확인하며, 이후 세 차례의 연구 모임을 진행한다.
 
우리는 이렇게 공부했습니다.

1차 사회주의 기본 이해를 위한 강의 남구현(한신대학교교수)

2차 자본주의 국가이론
- [전략관계적 국가이론, 밥제솝, 한울 출판사] 제1부 개관 1. 최근의 자본주의 국가 이론

3차 주요 이론가: 맑스, 그람시, 알뛰세, 플란차스
- [국가와 정치이론, 마틴 카노이저, 이재석외 옮김, 한울 출판사]제3장 그람시와 국가, 제4장 구조주의 국가(알뛰세와 플란차스)

4차 한국 사회의 성격과 국가 그리고 이행전략Ⅰ
-손호철, "김영삼정권의 국가성격"
-[최장집, 민주화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제5장 민주화 이후의 국가

5차 한국 사회의 성격과 국가 그리고 이행전략Ⅱ
-한국사회의 성격과 이행전략 강의 박영균(건국대 강사)

6차 한국 사회의 성격과 국가 그리고 이행전략Ⅲ
-손호철 교수의 “한국국가 성격 논쟁의 재조명”
보조자료 김세균 교수 “사회변혁과 국가 변혁”

오래 전 대학 학생회 선거 교육부문 슬로건으로 썼던 문구가 생각이 났다. “자본의 심장에서 교육을 꺼내어 민중의 무기로” 좀 살벌하긴 했지만, 자본이 원활하게 자기 배를 불릴 수 있게 밑거름이 되어주는 교육을 탈출시켜야겠다는 막연한 의지만을 가지고 만든 슬로건이다. 그 때의 실현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과제가 ‘사회주의 교육 강령’이라는 이름으로 현실화되기를 희망하며 앞으로 함께할 시간들을 기대해 본다.

앞으로는 무엇을 공부하게될까? 이런 공부를 오랫동안 숙원하고 있었던 많은 동지들,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진보교육연구소로 문의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8 현단계 진보교육의 구상과 당면과제 file 포럼준비팀 2001.02.08 1960
1327 기획_교육양극화대책? 교육부는 가만히 있는 게 도와주는 건데 file 진보교육 2006.07.04 1959
1326 [현장스케치] 학교를 파는 시장터 - 남부 고교선택제 학부모 설명회를 다녀와서 file 진보교육 2010.01.05 1956
1325 [특집] 2008 교육운동의 방향과 과제 file 진보교육 2008.01.07 1956
1324 [블로그에서1] 누렁이 (계속) file 진보교육 2008.01.07 1954
1323 특집1_'전교조 때리기' 여론공세의 성격과 존질 file 진보교육 2006.08.09 1953
1322 [현장에서] 강원지부 강제전보 저지 투쟁 file 진보교육 2008.04.07 1952
1321 [담론과문화] 욕망의 통제? 욕망의 생산? file 진보교육 2008.01.07 1949
1320 [특집] 하반기 교육정세 : 역동과 변화의 시대, 새로운 사고와 실천이 필요하다 file 진보교육 2008.06.26 1945
1319 [초점] 등록금, 돈(don't)! 돈(don't)! 돈(don't)! file 진보교육 2008.04.07 1942
1318 [해외동향] 프랑스 사르코지 교육정책에 맞선 투쟁 file 진보교육 2010.01.05 1935
1317 경쟁유발정책이 교사의 직무성과에 미친 효과 file 박윤경 2001.02.08 1934
1316 비정규직, 교육노동자의 시선 둘 특집팀 2003.07.14 1931
1315 신자유주의 정책과 교육운동의 대응 file 이종보 2001.02.08 1927
1314 평화교육, 비평화적 시대의 교육적 대안 박보영 2001.10.11 1926
1313 근대적 가족형태 비판과 성적차이 페미니즘 file 이현주 2003.05.02 1916
1312 [특집] 6 청소년 운동에 대하여 file 진보교육 2009.03.25 1913
1311 [쟁점과현안] 2. 2009개정교육과정과 2014수능체제개편 현황과 대응 file 진보교육 2011.04.10 1909
1310 [초점] 신규교사 임용 축소와 교사 재배치 file 진보교육 2010.01.05 1906
1309 [현장스케치] 524대회 왜 나는 재미없었지? file 진보교육 2008.06.26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