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저임금 개악과 교육노동

 

최고봉(강원 내촌초 교사)

 

지난 6월 30일 열린 '2018 비정규직 철폐 전국노동자대회'는 8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치러졌다. 문재인 정권 출범 후 최대 규모의 집회가 열린 셈이다. 노동자대회가 끝난 후, 언론에서는 '문재인 정권 1년만에 노동계와 결별?'같은 제목의 기사를 쏟아냈다. 광화문 광장을 가득 채운 사람들은 노동무시 정책과 최저임금법 개악, 친자본 정책에 대한 분노의 목소리를 냈다. 이번 집회에서 돋보이는 것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참여율이 무척 높았다는 것이다. 물론 비정규직 철폐 전국노동자대회는 전통적으로 다른 집회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많이 참여해온 집회였다. 그러나 올해 집회는 예년보다 더 높은 집중을 보여 집회 이후 다양한 평이 오갔다. 그 중에서도 '연두와 보라의 물결'이라는 교육공무직 노동자의 상징색이 언급될 정도로 교육공무직 참가자가 많았다.

 

최저임금 개악

최저임금 인상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 내건 핵심 노동정책이었다. '최저임금 1만 원'으로 상징되는 최저임금 인상 정책은 구매력을 높여 경제성장을 하겠다는 전략과 최소한의 안전망을 만들겠다는 복지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2018년 최저임금은 7,530원으로 2017년 최저임금 대비 16.4% 인상되었다. 당시 최저임금 인상률 자체는 높았지만, 이전의 누적된 최저임금 인상 억제로 인한 불만이 반영되어 있었다. 최저임금 인상은 유럽, 미국 등 여러 나라의 정책과도 맞닿아 있었다.

그러나 최저임금 인상에 한국 자본은 강력히 반발했다. 최저임금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며 총공격에 나섰다. 이런 자본의 불만을 수용한 국회는 노동계의 저항은 무시한채 최저임금 산입 범위를 확대하여 자본의 부담을 줄여주었다. 그동안 임금 인상 대신 수당과 상여금을 통해 우회적으로 임금을 보전해온 한국 상황에서 최저임금 산입 범위 확대는 최저임금 인상 혜택을 무력화시키기에 충분했다. 특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임금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저임금 노동자의 조직 상태는 매우 나빠 당사자의 저항은 미약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여론 지형은 합리적 비판이 힘을 쓰기 어려운 상황이다. 친자본 언론이 최저임금 산입 범위 확대를 찬성하는 것은 물론,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바라는 사람들이 정부 정책 비판을 싫어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에 민주노총이 투쟁할 경우에는 귀족노조론을 내세운다. 최저임금의 영향을 받는 당사자들은 노조로 조직된 경우가 많지 않고, 설사 노조로 조직되어 있더라도 지속적인 저항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생업 전선에서 하루, 이틀 벗어나는 것은 생계비가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2000년대의 최저임금 투쟁은 여성 노동자 조직이 주도했다. 6월이면 공공운수노조와 일반노조에 가입한 청소노동자들이 최저임금위원회 앞에서 집회를 열고 농성도 했다. 그런데 2010년대가 되자 최저임금 투쟁의 주력이 서서히 변하기 시작했다. 진보교육감의 탄생과 민주노총 전략조직화, 그리고 당사자들의 결집에 따라 교육공무직 노조가 결성되고 성장했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 간의 투쟁으로 교육공무직은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받기 시작했다. 교통비, 정액급식비, 상여금 등이 신설되었고 장기근속수당 현실화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성과가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로 무력화될 지경에 이르렀다. 사측이 악독한 마음을 먹는다면 기존 성과가 붕괴될 국면에 이르자 이번 비정규직 철폐 전국노동자대회에 교육공무직 노동자가 나선 측면도 있었다.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의 내용

최저임금 산업범위 확대에 대해 정부는 ‘연봉 2500만원 미만 노동자에게는 아무런 피해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저임금 관련 주무부처인 노동부는 성급하게 자료를 제시하며 파문 확산을 진화하려 했다. 그러나 국민들은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에 대해 비판적인 여론이 더 많았다. 민주노총이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6월 3일 실시한 ARS 여론조사에서 66.9%의 국민이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에 반대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씽크탱크인 <민주연구원>에서조차 주간 ‘이슈브리핑’을 통해 노동부 통계에서 복리후생비가 빠졌다며 보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1. 매월 정기상여금(개정안 제6조 제4항 제2호, 부칙 제2조 제1항)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69_담론과문화_음양의 원리 우리몸의 원리 file 희동 2018.07.11 541
20 69_기고_프레이리 교육사상 두번째 이야기 file 희동 2018.07.11 368
19 69_포커스_교사의 교육권을 어떻게 볼 것인가 file 희동 2018.07.11 368
18 69_담론과문화_낡고 오래된 도시, 필라델피아 재생 프로젝트 file 희동 2018.07.11 360
17 69_담론과문화_달력이야기 file 희동 2018.07.11 301
16 69_특집3_2018 교육감선거 분석과 향후 과제 file 희동 2018.07.11 292
15 69_특집2_자유주의 시대 진보적 교육개편운동의 재구성 file 희동 2018.07.11 252
14 69_권두언_2018 새로운 교육노동운동의 전망을 노래하자 file 희동 2018.07.11 230
» 69_이슈_최저임금 개악과 교육노동 file 희동 2018.07.11 225
12 69_담론과문화_전쟁의 민낯 file 희동 2018.07.11 219
11 69_특집1_2018 정세구조 변화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file 희동 2018.07.11 200
10 69_현장에서_2018 교실에서 쓰는 편지 file 희동 2018.07.11 199
9 69_현장에서_기간제교사도 노동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file 희동 2018.07.11 194
8 69_청와대에띄운편지_격문 file 희동 2018.07.11 189
7 69_현장에서_인간을 대하는 일의 어려움 file 희동 2018.07.11 178
6 69_현장에서_꽃을 보려면 file 희동 2018.07.11 162
5 69_담론과문화_무법 변호사와 미스 함무라비 사이 file 희동 2018.07.11 149
4 69_만평_나는 누구인가 file 희동 2018.07.11 145
3 69_책소개_사랑해야만 하는 너의 분열 file 희동 2018.07.11 141
2 69_담론과문화_문래동연가2 file 희동 2018.07.11 137

                          하단4.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