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8호 상호작용텔레비젼 교육_최이숙역

2001.02.08 18:54

최이숙 조회 수:1426 추천:1

상호작용 TV교육에서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1)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영향

상호작용 TV교육에서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1)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영향

Timothy P Motte

<역자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원격교육 또는 가상공간에서 실시되는 교육이 전통적인 교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교육을 대체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학교교육을 옹호하는 내용은 아니며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가상공간에서의 교육이 대체할 수 없는 부분이 바로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학생과 교사간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부분이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을 완성하는 비언어적인 다양한 요소들이라는 점을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에서보다 학교와 학생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양상이 더욱 중요한 중등교육에서의 교육정보화 정책이 교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공교육을 대신할 수 없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글이 아닌가 한다.

1. Introduction

1995년 2년제 또는 4년제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약 76만여명의 학생들이 25730개의 원격교육과정에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거리에서도 교사와 학생이 서로 보고들을 수 있는 새로운 상호작용적 기술이 사용되면서, 원격교육의 교실은 교사와 학생간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face to face communication)이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교실의 상황과 비슷해져가고 있다. 많은 곳에서 환영받을만한 원격교육이 증대되어가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교사는 학생들과 시공간적으로 떨어져있는 상황에서 가르쳐야하는 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Dillon과 Walsh(1992)에 의하면 원격교육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을 주관하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 왔다. 원격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중요성을 이야기한 많은 글이 있기는 하지만, 원격교육을 행하는 기관 및 시설에 대한 실제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제까지 원거리 교육에 대한 논의는 주로 학생들의 원거리 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특성이나 태도 그리고 학습결과 등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었던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교육 교사가 학습자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이 그들의 학습의 효용성 및 교육에 대한 만족도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서 조사하고자한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 마주할 수 있었던 전통적인 교실에서는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이나 이에 대한 단서가 언제나 교사에게 제시되어 교사는 이를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원격 교육 상황에서 이 점은 더 이상 가정할 수 없다. 다양한 형태의 매개가 이루어짐으로써 원격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은 커뮤니케이션 단서가 존재하지 않거나 여과·왜곡된 상황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야한다. 이렇게 학생들의 비언어적 행위가 변형되었다는 점 또는 이러한 비언어적 행위가 부재한다는 사실은 교사의 원격교육에 대한 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비언어적 행위와 관련된 사실이 이들 고유의 교수에 대한 효능성2)(effectiveness)에 대한 지각과 어떻한 관련있는가?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교사의 태도와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은 Nussbaum이 교수와 학습의 순환적 성격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다. 원거리 교육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와 학생의 다른 행위를 불러일으키는 상호작용의 성격은 왜곡된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 얼굴을 마주치는 전통적인 교실의 상황에서 시각적 청각적 채널을 통해서 교사와 학생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과는 달리 원거리 교육에서 이들의 메시지는 시공간을 넘어 녹음되어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어떤 메시지 특히 비언어적 메시지는 바뀌어지고 왜곡되어 나타난다.

문헌연구

이 글에서는 기존문헌 검토를 3가지 차원에서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상호작용 TV기술과 그 한계를 논한 부분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는 학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그것이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에 미치는 영향, 마지막으로는 원격교육에 있어서 Teaching 만족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상호작용적 텔레비젼 기술과 그 한계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발달해감에 따라 교사와 멀리떨어져 있는 학생들은 교실과 유사한 상황에서 배울 수 있게 되었다. 교사와 학생을 연결하는 상호작용 TV 시스템은 크게 위성과 위성이 아닌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대체적으로 위성 시스템을 이용한 것은 일방향적인 비디오와 양방향적인 오디오를 이용한다. 위성을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에서는 비디오와 오디오 장비 모두 양방향적이다.

이러한 기술 발달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상호작용TV기술은 메시지의 전달과 전통적인 교실에서 이루어졌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재현하는데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다. (Culan & Markus) 상호작용적 TV로 형성되는 교실에서 나타나는 가장 커다란 문제점 중 하나는 많은 시각적 이미지가 희미해지고 둔감해진다는 것이다. Culan과 Markus에 의하면 전자기술이 매개하는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에는 얼굴을 맞대고 의사소통을 할 때 발견될 수 있는 단서-눈짓, 표정-등이 여과된다는 것이다. 또한 매개상황에서는 대화를 조절하는 것, 상대방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리고 좀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맥락단서를 얻어내는 것이 어렵다고 이들은 지적한다.

Stork와 Sproull에 의하면 현재 쌍방향적인 비디오 기술은 대화의 패턴을 관리할 수 있는 시청각단서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들에 의하면 Video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수신자가 메시지를 전달받는 것이 얼굴을 마주보고 대화할 때보다 지연됨으로써 대화에 즉시 끼어들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몸짓등은 희미해지거나 왜곡되게 나타난다. 비디오 방송의 특성상 말하기의 형태는 상당히 형식적이며, 이는 정보교환을 제한적인 일에만 초점을 맞추게 한다. 상호작용 TV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동아 이루어지는 교과외적인 커뮤니케이션은 건방진 것으로 여겨지게 된다. 비언어적 단서들은 언어적 단서를 강조하고 그 의미를 완성시킬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다. 하지만 상호작용적 TV상황에서 이러한 비언어적 단서들은 잘 보이지 않는다.

2. 학생들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이것이 교사에 미치는 영향

이를 논의하기에 앞서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듯하다. 일반적으로 비언어적 반응은 친밀감의 측면에서 논의되어 왔다. 비언어적 반응행위는 친밀감의 지표로 제시되곤 한다. Richmond는 학습상황에서의 14가지 비언어적 친밀감을 분류하였는데, 여기에는 학생들에 대한 미소, 가르치는 동안 교실을 돌아 다니는 행위, 목소리 톤의 다양한 표현, 교실에서의 편안한 자세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는 긴밀성의 요소 중 학생들에게 친절하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교사로 인식하게끔하는 반응적인 행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한다.

1) 교사가 학생에 대해서 가지는 인상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교사는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을 통해서 학생에 대한 인상을 갖게된다. 학생들의 비언어적 행위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Brooks과 Woolfolk에 의하면 학생들의 비언어적 표현은 교사가 학생들에 대한 인상, 이들에 대한 교사의 태도등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원이다 Brook와 Woolfolk는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적 영역의 3가지 부분-장소, 주목도, 참여-을 검토하였다. 이들의 연구결과 앞에 앉은 학생이 교사와의 눈맞추기가 많은 학생이 그리고 적절한 시간에 질문을 하는 학생들이 교사들로부터 호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2)교수(teaching)효능성

Jenkins와 Deno에 의하면 교사가 그들의 교수 효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학생들의 웃음, 손들기, 바로앉기, 재미있게 행동하기 등에 많이 의존한다고 한다. "학생들의 이러한 행위는 교사가 가르칠 때 어떤 행위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이다."(Jenkins and Deno;1969) 학생들로부터 긍정적인 비언어적 반응을 얻은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을 즐거워한다. 그리고 그들 스스로를 좀더 능력있는 교사로 생각하며, 그들의 학생이 좀더 많은 것을 배워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Deckek, Maccoby, Breitrose와 Rosesms는 학생들이 제시하는 시각적인 피드백 단서를 근거로 학생들의 인지적인 이해정도를 교사가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연구하였다. 그들의 조사에 의하면 교사가 시각적인 비언어적 단서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이해정보를 판단할 때 청각적인 단서를 이용할 때보다 학생들의 이해정보를 잘못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cker등에 의하면 교실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언어적 피드백은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의 비언어적 행위를 더 잘 앎으로써 그리고 이를 정확하게 해석하는 방식을 잘 앎으로써 혜택을 얻게된다.

3. 원거리 Teaching 만족도

문헌연구의 마지막인 이 부분은 미디어가 매개하고 있는 원거리 교육의 상황에서 교사가 가르치는 행위에 대해서 가지는 태도를 고찰하고 있다. 이부분에서는 또한 Teaching이란 관계적인 행위이며, 교사의 만족도는 부분적으로는 학생과의 관계발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논할 것이다.

1) 태도

교사의 태도와 그들의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가르치는 것 사이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은 아직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Dillon과 Walsh는 원거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수들의 경우, 이에 대해 어느정도 긍정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가르쳐본 경험이 늘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내렸다. Clark는 교수들이 여전히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른 보고서에 의하면 교사들이 교실에서의 학업 비해 떨어지는 학습의 질, 사회화와 애정있는 관계의 발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또한 대학교육에서 요구하는 자원에대한 학습자의 접근도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였다.

Stinehart에 따르면 교수들은 여전히 원거리 교육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왜냐하면 미디어를 이용해 가르칠 때, 교수-학습(teaching-learning)과정을 관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교수-학습과정에 있어서의 내적인 측면이 그들이 원거리 교육에 대한 호감도를 결정짓는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따.

Taylor와 White(1991)년 의하면 교수회는 원거리 교육이 무척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이에 대한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교사들의 만족도는 가르치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Scriven에 의하면 조사대상자의 25%는 그들이 할 수 있다면 원거리 교육을 피하고 싶다는 의견을 밝혔으며, 대부분의 교수들이 전통적인 교실을 더욱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관계적 행위의 성격이 강한 teaching

만족스럽게 가르쳐본 경험은 지속적인 교사와 학생사이의 대인관계에 의해 강화시킬 수 있다. Devito는 가르치는 행위(Teaching)는 관계적 행위라고 개념화하여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학생과의 관계에 있어서 더욱 긴밀하고 자신이 있는 교사-커뮤니케이트 할 능력까지 포함하여-가 그들의 직업에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y Graham, West, Schaller)이ㅘ 유사한 연구에서 Thomas는 (학생과의) 관계의 발달, 교사의 만족도와 연관된 것으로 여겨진 교사의 의사소통행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교사가 사교적인 방식으로 교실을 통제, 관리하면 할수록 자신이 가르치는 것에 더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및 연구결과

여기서는 157명의 상호작용 텔레비젼 교수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은 평균 17년간 그리고 상호작용 TV에서는 평균 6.4년간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교수나 조교수 또는 강사로 재직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통적인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교실과 상호작용적 TV 교실 사이에 교사가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성을 보는데에는 차이가 나타는가? 두 교실간에는 교사가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을 인식하는 데 차이가 나타났다. 시각적인 비언어적 반응에서 그 차이가 가장 두드려졌다.

2.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인식과 학생에 대한 인상간의 상관관계
학생의 비언어적 행위에 대해 교사는 학생에 대해 긍정적인 인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전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을 때 학생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비언어적 반응과 teaching 효용성과의 상관관계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교사가 더 잘 지각할수록 자신의 가르침이 아이들에게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상황에서 상호작용적 TV 상황에서 모두 그러하였다. 특히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전반적으로 인식 그리고 청각적인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4. 비언어적 반응과 teaching 만족도와의 관계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서 잘 지각하면 할수록 전반적으로 자신이 가르친 것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교실에서 가르칠 때,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르러졌다. (즉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지각하면 할수록 만족하는 정도가 더욱 컸다.)

5.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대인관계의 변화

교사가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인식하면 할수록 그들의 대인관계가 더욱 돈독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거리 학생의 시각적인 반응이 대인관계 인식 변화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른 교사와 학생사이의 관계의 변화 정도는 전통적인 교실에서보다 상호작용적인 TV수업의 상황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6.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상호작용적인 교실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서 인식하면 할수록 전통적인 교실과 대비되는 상호작용 TV 교실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교사가 학생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지각, 교수 효용성, teaching만족도, 그리고 교사와 학생들간의 관계가 전통적인 면대면 상황의 교실과 상호작용적 TV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정말차이가 있는가? 모든 면에 있어서 전통적인 교실이 상호작용적 TV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되는 검중

상호작용 TV가 갖고 있는 조건이 미디어의 상호작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 명향을 미치고 있다. 텔레비젼 교실에서의 양방향적인 조건 즉 시각적인 면에서 그리고 청각적인 면에서 모두 쌍방향적인 것이 한쪽이라도 일방적인 성격을 지니는 미디어에 비해서 교사가 학생들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인식하는 데, 학생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상을 갖는데, 또한 그들의 teaching 효용성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원거리 교육을 가능하게 되는 제도적인 차원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각 고등교육기관에서 이 부분에 많은 돈을 투여하고 있으며, 원거리 교육에 대한 활발한 요구도 있다. 원거리 교육이 빠르게 확장되어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상호작용적 TV의 교사들이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을 지각하는 것과 그리고 이러한 지각이 어떻게 원거리에서 가르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3개의 결론을 내렸다.

많은 원거리 교육 프로그램이 면대면 교실에서의 상황을 유사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상호작용 기술이 발달하였다고 하더라도, 이 데이터는 교사들에게 중요한 정보로 생각되는 비언어적 반응 단서들을 포착하고 전파하는 면에 있어서 완전하게 전통적인 교실과 비슷하게 할 수 없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을 교사들이 인식하는 면에 있어서, 상호작용적 TV 상황에서 가르치는 사람의 능력이 유의미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기술은 시각적인 단서보다는 청각적인 비언어적 단서들을 더 잘 포착하고 전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전자 수단에 의해 매개되었을 때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단서들이 걸러진다는 다른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메시지를 전파하는데 사용되어왔으며 교사와 학생사이의 완전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준 이러한 채널들은 상호작용적 텔레비젼의 교사들이 멀리떨어져 있는 그들의 학생을 지각하고 교습과정을 이해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교육장소에 대한 호감도 역시 오디오와 비디오가 모두 양방향성인 것을 선호하는 데에서 예측할 수 있듯이 쌍방향적인 시청각적 수단이 비언어적 반응을 포착하는 데 훨씬더 효과적이다.

시각적인 것보다는 청각적인 비언어적 반응들을 교사들이 더욱 잘 포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적인 것이 더해졌을 경우에 청각적인 것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결론은 텔레비젼 교사들이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해 인식하는 것은 그들의 학생에 대한 인상, teaching효용성, 만족도에 대한 인식, 교사 학생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전통적인 교실과는 대립되는 상호작용적 TV 교실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인식은 교사들이 어떻게 학생과의 관계를 인식하는가?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청각적인 비언어적 단서들은 teaching 효용성과 만족감, 그리고 교사학생의 대인관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teaching 효용성, 만족도에 대한 교사의 지각 및 평가, 교사-학생사이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지각 및 이에 대한 평가, 교육장소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는 전통적인 교실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 학생간의 관계나 교육장소에 대한 호감도에서 두드러졌다. 이는 정책적인 문제로 남는다.
주--------------------------
1)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정의는 뒤에 정의되어 있다.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과정에서 말로 표현되는 것이외에 표정, 미소, 학생이 교실에서 앉는 위치등과 같이 맥락에 따른 언어의 의미를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청각적인 것을 일컫는다.
2) 효능성(effectiveness)이란 여기서 자신이 가르치는 것이 아이들에게 중요하고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심리적인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8 특집2_교원평가를 너어 '노동자평가' 반대로 진보교육 2006.08.09 2912
287 특집2_신자유주의 교육평가시스템의 반교육적 본질 file 진보교육 2006.08.09 2178
286 특집2_평가의 전성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file 진보교육 2006.08.09 2003
285 특집1_여론반전의 사례들과 하반기 여론공세 대응방향 file 진보교육 2006.08.09 2015
284 특집1_2006년 여론지형 분석과 예측 - 교원평가를 중심으로 file 진보교육 2006.08.09 1796
283 특집1_'전교조 때리기' 여론공세의 성격과 존질 file 진보교육 2006.08.09 1953
282 여는 글_맞을수록 단련되는 강철과 같이 file 진보교육 2006.08.09 1635
281 2006년 여름 특집호 file 진보교육 2006.08.09 1740
280 해외동향_미국 교육기업들 보충교육서비스 시장으로 진출하다 file 진보교육 2006.07.04 2039
279 논단_무상교육운동은 안녕하신가? file 진보교육 2006.07.04 2314
278 연구노트_중등 부실 비리사학의 국공립화 추진방안 file 진보교육 2006.07.04 2011
277 기획_교육양극화대책? 교육부는 가만히 있는 게 도와주는 건데 file 진보교육 2006.07.04 1959
276 특집_한미FTA 비밀과 거짓말 file 진보교육 2006.07.04 1515
275 특집_FTA와 한국교육의 파탄 file 진보교육 2006.07.04 1624
274 특집_한미FTA, 그 죽음의 협상판 속에 희망은 없다 file 진보교육 2006.07.04 1541
273 서문_시냇가 심은 나무처럼 진보교육 2006.07.04 1871
272 활동보고_2005년 연구소 활동평가 및 2006년 사업계획 file 진보교육 2006.03.07 2252
271 읽을거리4_내 친구 니코스(Nichos) file 진보교육 2006.03.07 2463
270 읽을거리3_학교 낯설게 읽기 file 진보교육 2006.03.07 2045
269 읽을거리2_“교육운동의 이해” 기초강좌를 듣고 나서 file 진보교육 2006.03.07 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