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5호 프레이리 교육사상에 대한 평가와 그 분석

2003.05.02 21:33

홍은광 조회 수:2435 추천:5

프레이리 교육사상에 대한 평가와 분석

프레이리 교육사상에 대한 평가와 분석

홍은광 프레이리 연구팀


우리가 프레이리를 주목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로, 그는 맑스주의 교육사상가로서 교육체제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가능성의 언어'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번째, 그의 이론은 현실에서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언제나 현실에서의 실천 속에서 구성되었기 때문에 실천적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교육사상은 새로운 교육사상의 이론적, 실천적 지평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특히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이 근대적 기획으로서 교육을 비판하면서, 결과적으로 자리에 공공성과 진보성 대신 자본에 대하여 분열적으로 해체된 개인의 학습을 남겨두게 되었다면, 프레이리는 포스트 모던적 이슈를 받아들이면서도 사회의 진보와 해방이라는 주제를 놓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프레이리는 동시에 진보와 해방에 대한 지식인 중심의 선험적 규정에 대해서 반대하고, 민중들의 기반에서 가능성을 찾고자 했다. 이것이 프레이리를 다시금 주목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글의 목적은 이러한 입장에 기반하여 프레이리 사상에 대한 갖가지 평가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서 현재의 진보적 교육사상에서의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프레이리 이후 그의 이론에 대한 여러 평가가 진행되어 왔다. 평가들은 프레이리 교육이론이 3세계 성인 문해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오는 적용과정에서의 한계의 문제, 프레이리 이론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이론 내적 모순성, 과학적 사회주의입장에서의 프레이리 이론의 과학성과 계급성의 부족과 관념성에 대한 비판, 그리고 포스트 모던적 시각에서 프레이리 이론이 가지고 있는 근대성의 한계에 대한 비판 등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살펴보면서, 또한 비판들에 비판적 분석을 가해보고, 프레이리 사상의 현재적 의미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1. 프레이리 교육 사상 전개의 한계에 대한 비판과 그 검토

프레이리 이론의 전개와 적용에 있어서 가장 문제는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이 3세계 성인 농민의 정치적 문해교육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있으며, 따라서 1세계 혹은 여타의 다른 특성을 가진 학습자 집단에서의 교육, 혹은 문해교육 이외의 교육에서의 적용이 힘들다는 것이다.

먼저 프레이리 교육이론이 3세계에서의 교육실천이기 때문에 1세계에서의 적용은 힘들다는 비판에 대해서, 교육프레이리 자신 또한 자신의 이론이 ' 3세계'에서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프레이리에게 있어서 ' 3세계'라는 것은 ' 1세계' 안에서도 ' 3세계'의 모습을 확인할 있듯이, 단순히 지형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이면서도 이데올로기적인 것이며, ' 1세계'는 ' 3세계'의 연관 관계 안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Freire, 1985: 184). 나아가 ' 3세계'와 ' 1세계'의 설정 자체가 1세계의 모순과 3세계의 모순을 은폐하는 작용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문제제기도 필요하다(Roberts, 2000: 17). 물론 1세계와 3세계의 사회·경제·정치·문화적 맥락이 동일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교육대상지역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분석이며, 프레이리 자신도 자신의 이론이 외부세계에 전파되는데 있어서 자신의 이론의 구체적 사회적 조건이라는 맥락을 파악하는 '사회학적 오차(sociological reduction)' 대한 수정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Freire, 1972b: 17). 결국, 프레이리 이론 자체를 물신화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프레이리 이론 자체의 원리, 끊임없는 문제제기의 원리 자체에 모순되는 것이다(Roberts, 2000: 17).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의 전수와 적용에 있어서 그의 총체적 교육 원리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그의 이론에 대한 맥락적 분석과 함께 받아들이고자 하는 사회의 상황에 대한 분석적 판단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프레이리 이론은 맥락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이해될 총체적으로 인식될 있다(Roberts, 2000: 8). 이른바 1세계에서도 프레이리 교육이론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Mayo, 1993: 16).

번째 비판은 프레이리의 교육실천이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이에는 프레이리 교육이론에서의 학습자의 자발성과 학습의 전과정에의 참여가 실제적으로 학교 교육이나 청소년 교육에서는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지적이 있다. 물론 프레이리는 학교가 지배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역할을 주요하게 담당해왔다고 비판하였고 그의 실천은 성인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는 점차 학교 내에서의 비판적 교육을 위한 실천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를 위한 교사의 헌신성과 비판적 교육을 위한 교육관계 구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Freire, 1998a). 프레이리가 상파울로에서 벌였던 교육개혁 운동 이른바 학교 장면의 변혁적 실천을 지향하는 측면에서도 프레이리 교육사상이 이론화되고 실천되어 왔다(한숭희, 2001: 123). 그의 교육 실천이 분명 성인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의 교육방법의 원리인 비판적 성찰과 실천적 인식, 대화적 관계를 통한 사회변화의 지향의 원리는 학교교육, 청소년 교육에서도 실천될 수는 것이다. 메이요(Mayo, P, 1993: 16-19) 프레이리 교육이론을 성인 문해 교육에만 한정시키는 것은 오류이며 그의 교육이론은 문해 교육 이외의 교육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프레이리의 사상이 체제내적 기구인 학교에서도 '전술적으로는 체제 내부에 있으면서도 전략적으로는 체제 외부를 지향하는(tactically inside and strategically outside)' 실천을 통해서 진행되어야 함을 지적한다.

번째 비판은 그의 교육이론이 정치적 문해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서 문해교육 이외의 여타의 다른 영역의 교육에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프레이리는 교육이란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행위이며, 어떠한 교육에 있어서도 방법적 원리는 교육의 핵심적 원리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을 학습 방법론적 차원에서 받아들이는 순간 그의 이론은 사라지고, 기술적 공학주의에 의해서 왜곡되고 만다. 실제로 많은 나라에서 본질적인 교육의 정치적·사회적 성격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그의 교육이론을 학습 방법론의 수준으로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Robert, 2000:13-16). 프레이리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은 미국의 경우 많은 교육행정가와 교육학자, 그리고 교사들이 프레이리 사상을 방법론적 차원에서만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Arnowitz, S 1993: 8). 이에 대해서 프레이리 자신도 명확히 반대를 표한 있듯이(Freire, 1994), 그의 교육사상은 방법론적 차원이 아니라 여러 교육영역에 투영될 있는 교육적 원리로서 받아들여져야 것이다. 지점에서 '규범적(規範的) 편재성'에 대한 이돈희의 논의는 다양한 영역의 교육에 있어서의 각각의 교육 내용에 어떻게 교육의 규범성이 녹아 들어갈 있는지에 대한 관점을 제시해준다(한숭희, 2001: 27). , 프레이리의 교육원리는 문해교육이라는 특정 영역의 문제가 아니므로, 그의 교육사상을 구성하는 핵심적 교육 원리를 여러 다양한 교육에 편재적으로 융합해 나가야 것이다. 일반교육, 정치교육, 기술교육에 있어서도 교육내용을 균형 있게 조직해 나갈 있어야 것이다(이규환: 1991).

요컨대, 프레이리 교육이론의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그의 교육이론의 핵심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의 교육이론의 핵심적 원리에는 교육의 본질적인 정치적 성격에 대한 이해, 교육실천을 위한 사회적 맥락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 그리고 그의 '대화'라는 방법적 원리에 대한 심층적 이해이다. 프레이리의 교육이론을 방법론적 차원에서 받아들이는 것은 한계적일 수밖에 없으며, 프레이리 교육이론에도 반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레이리의 교육활동에 대한 비판에는 그의 활동에 있어서의 개량주의에 대한 비판이 있다. , 문화적 활동으로서의 교육이 과연 체제의 변화에 실질적인 힘을 가질 있는가에 대한 비판이다. 프레이리가 브라질에서 광범위한 비판 문해 활동을 하였지만, 결국 브라질은 군사 쿠테타가 일어났고 그의 비판 문해 활동은 이러한 과정에서 아무런 저항도 해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메이요(1993: 13-14) 프레이리의 교육사상에 기반한 활동이 브라질에서 고울랏 정부 이후의 군사정권과, 칠레에서의 피노체트 정부에 대한 민중의 저항의 힘으로 계속해서 영향을 주었으며, 프레이리가 망명생활을 시작한 이후에도 비밀리에 진행되어왔고 이후의 민주화의 문화적 동력으로 작용하였음을 지적한다. 또한 프레이리의 영향을 받은 니카라과에서의 비판 문해 활동은 니콰라과 민주 정부 수립에 게릴라적 혁명활동과 함께 중요한 민중적 동력을 형성하였다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기획연재_교육사회학 훑어보기(2) file jinboedu 2004.04.27 22718
124 현장에서_세계는 지금 교육투쟁중 file jinboedu 2004.01.09 11802
123 교육사회학 훑어보기 송경원 2002.12.14 10811
122 읽을거리_프랑스 68혁명이 우리에게 남긴 것들 jinboedu 2004.04.28 4585
121 「참솔」을 읽는다 file 정은교 2002.12.09 4273
120 교육개방 : 한국교육 위기의 새로운 단계 file 송권봉 2002.12.11 3225
119 논단_외국교육기관 특별법 비판 file jinboedu 2003.11.07 3004
118 현장에서_살인적인 0교시 조기등교, 강제보충·타율학습을 즉각 중단하라 file jinboedu 2004.04.28 2952
117 구조와 행위:변화의 변증법과 교육사회학의 진로 file 홍은광 2002.04.03 2806
116 환경교육 담론과 실천의 가능성과 한계성에 대한 일고 강지영 2001.11.08 2718
115 읽을거리_평화바람-평화없이는 자유도 없다 file jinboedu 2004.04.28 2609
114 대학평준화, 당당히 가야할 길 file 손지희 2002.12.13 2543
113 읽을거리_‘참세상’을 열자 file jinboedu 2005.04.18 2505
112 한국민중교육의 역사적 전개와 프레이리 교육사상 홍은광 2003.07.14 2504
111 읽을거리_교사의 삶을 이해하는 한걸음 file jinboedu 2004.01.09 2457
» 프레이리 교육사상에 대한 평가와 그 분석 file 홍은광 2003.05.02 2435
109 프레이리 교육사상의 재창조를 위하여 홍은광 2002.12.14 2410
108 마르크스『자본』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송권봉 2003.07.14 2405
107 현장에서_학교급식 개선운동의 현황과 전망 file jinboedu 2003.11.07 2386
106 다시 프레이리를 생각한다 신호승 2001.11.08 2376

                          하단4.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