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이론의 동향

2001.01.11 20:04

홍은광 조회 수:7931

이 자료는 송경원씨가 정리하여 보내주신 자료입니다. 교육사회학을 공부하시는데 참고하시길 빌며 게시합니다..


교육사회학 이론의 동향


◎ 기능주의적 관점 : 1950∼1960년대
1) 인간자본론(Human Capital Theory)
- 슐츠(Schultz, 1961)의 '인간자본에 투자하자(Investment in Human Capital)'
- '발전교육론'의 기반
2) 근대화이론(Modernization Theory)
- 인겔레스(Inkeles), 맥클리랜드(McClelland)
- 베버(Weber)의 '가치이론' 수용
- 근대화된 가치를 바탕으로 한 정치·경제·문화의 근대화
3) 주된 관점
- 사회는 분화된 체계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 교육은 사회화와 선발·배치의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의 한 체계이다.
- 교육은 사회이동과 사회평등의 장치이며, 다른 사회분야를 자극하여 성장을 이끌어낸다.

◎ 기능주의적 관점에 대한 문제제기
1) 종속이론
- 카노이(Carnoy, 1974)의 「문화적 제국주의로서의 교육(Education as Cultural Imperialism)」
일리치(Illich, 1971)의 「학교없는 사회(Deschooling Society)」
라이머(Reimer, 1971)의 「학교는 죽었다(School is Dead)」
- 경제의 종속적 성장과 교육의 비인간화, 파행적인 팽창, 고학력실업자 증가 등에 대한 비판
2)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 혹은 교육과정사회학 : 학교 안을 바라보기 시작.
- 영(Young, 1971)의 「지식과 통제(Knowledge and Control)」: 지식의 위계화
번스타인(Bernstein, 1971) : 언어를 통한 계층 재생산
케디(Keddie, 1971)의 '교실에서의 지식(Classroom Knowledge)' : 범주에 따라 학생을 구
분하여 차별 대우를 하는 교사의 인식과 행동
- 월리암스(Williams)와 만하임(Mannheim)의 지식사회학(Sociology of Knowledge)의 영향

◎ 마르크스주의(Marxism)와 결합
1) 경제재생산이론(혹은 대응이론 Correspondence theory)
- 보울스와 진티스(Bowles & Gintis, 1976)의 '자본주의 미국사회의 학교교육(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 기능주의적 관점의 평등관과 신교육사회학의 낙관론 비판
- 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교육의 불평등(차별적 사회화), 뒤이은 새로운 경제불평등 비판
- 알뛰세르(Althusser)의 '이데올로기(Ideology)'의 영향
2) 문화재생산이론
- 부르디외와 파세론(Bourdieu & Passeron, 1977)의 「교육의 재생산(Reproduction in Ed.)」
- 경제재생산이론의 '교육의 경제화', 구조주의적 경제결정론 비판
신교육사회학의 문화주의와 지나친 낙관론 비판
- 구조주의와 문화주의의 비판적 결합 시도 (문화와 경제의 관련성 해명)
: 아비투스(Habitus), 장(Site), 문화자본(Cultural Capital) 개념 도출
- 교육은 하나의 문화현상이지만, 계급관계의 영향으로 사회구조의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작용
3) 저항이론
- 윌리스, 에버하트(Everhart, 1979), 맥로비(McRobbie, 1978)
- 그람시(Gramsci)의 헤게모니(Hegemony)' 영향
- 재생산이론에서 상정하고 있는 '인간의 수동성' 비판
- 학교 안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저항에 주목
4) 의식화교육
- 프레이리(Freire)의 「교육과 의식화(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1979)」와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Pedagogy for the Oppressed, 1982)」
- 은행저축식 교육(Banking Education)과 문제제기식 교육(Problem posing Education)
- 대안적·실천적 성격이 강함. 교육의 역할 강조
5) 탈재생산 논의
- 애플(Apple, 1982)의 「교육과 권력(Education and Power)」
: 학교는 단순한 재생산기관이 아니라 계급투쟁의 장이다.
- 보울스와 진티스(Bowles & Gintis, 1986)의 후기 이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Democracy & Capitalism)」
학교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모순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장소이다.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 대안학교에 대한 논문 file 손지희 2001.01.22 7681
17 6장부터 11장(자본주의와 학교교육) 발제문 file 손지희 2001.01.22 678
16 재생산 저항이론 5차 세미나 홍은광 2001.01.21 596
15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8장 file 최이숙 2001.01.21 651
14 교사 권위의 붕괴를 논하기 전에 누니 2001.01.21 570
13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9장 file 홍은광 2001.01.21 1165
12 교육 개혁의 방향 누니 2001.01.21 546
11 Re..위글은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11장 내용에 대한글 홍은광 2001.01.21 650
10 한국 학력사회의 형성에 관한 논문이 뭐드라? 누니 2001.01.15 527
9 Re..한국 학력사회의 형성에 관한 논문이 뭐드라? 홍은광 2001.01.16 1013
8 1930년대 공교육 형성에 관한 논문인가요? 누니 2001.01.16 1618
7 Re.."1930년대 한국초등교육 연구" 손지희 2001.01.17 19368
» 교육사회학 이론의 동향 홍은광 2001.01.11 7931
5 청소년 문화정책에 대한 교육적 접근 file 홍은광 2001.01.10 2632
4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개념 file 홍은광 2001.01.10 35469
3 대중문화 교육과 교육문화적 실천 file 홍은광 2001.01.10 881
2 7차 교육과정과 학교 문화 file 홍은광 2001.01.10 650
1 자본주의와 학교교육2장 file 최이숙 2001.01.07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