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8호 [연재 번역] 1968년 이후 핀란드 초·중등 교육

2010.07.16 15:46

진보교육 조회 수:1473

**원문에 포함되어 있는 표와 이미지는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세요.


[연재 번역] 1968년 이후 핀란드 초·중등 교육

번역 편집: 진보교육연구소 해외동향팀


  2001년 이후 연이은 PISA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기록한 핀란드의 보통교육부문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우리의 왜곡된 교육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많은 이들이 핀란드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교육의 방법이나 입시제도등 그 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각론 수준에 머물러 있음이 늘 개운치 않았다. 본 연구소의 연구원이 핀란드를 비롯하여 스칸디나비아 북유럽 국가들에 대한 정보를 어렵게 입수하게 되어 정보의 가뭄에 약간의 해갈이 되었다. 아래의 글은 2006년 5월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간한 책자이다. 교육부문의 working paper의 두 번째 시리즈로 에르키 아호, 카리 피트케넨 그리고 파시 살베르그 3인의 공동 저작물이다.
이전 회보에 이어 두 번째로 기획 연재를 한다. 이전 회보에서 ‘복합학교’ 등으로 번역한 Comprehensive School은 최근 추세에 맞추어 ‘종합학교’로 수정하였다.
이번 호의 내용은 종합학교의 개혁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주로 다루었다.


1부. 종합학교 개혁

1. 간략한 역사와 오늘의 이해
  이 논문은 현재의 핀란드 교육 제도에 대한 분석이 목적이 아니다. 오히려 지난 40여년간의 핀란드 교육 정책의 발전과 개혁을 이해하기데 목적이 있다.
간략한 핀란드의 역사와 그것의 교육제도의 작용을 알아보자.

1.1 정치 역사적 맥락
  핀란드는 인구밀도가 낮은 의회민주주의 국가로 러시아와 경계를 하는 유럽연합의 극동에 위치한 국가로 면적은 33만 8천 평방 킬로미터로 영토의 70%가 숲으로 이루어진 겨울의 혹한과 온화한 여름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핀란드는 전체인구(520만명)의 3분의 2가 도시지역에 거주하며(100만 이상이 수도인 헬싱키에 집중) 인구밀도는 17명으로 아주 낮은 편에 속한다. 결국 이러한 특징은 교육과 보건 등 공공서비스를 조직하고 공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의 원인이 되고 있다.
  19세기 초반 이전까지 핀란드는 스웨덴의 직간접적인 통치를 받았으며 1807년 제정 러시아에 복속되는 등 주변 두 나라의 강력한 영향 하에 있었다. 1917년 러시아로부터 독립하였으며 2년간의 참혹한 내전을 거쳐 입헌의회민주주의를 채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주요 정당은 사민당과 스웨덴인민당이 있다.
  핀란드의 지방자치의 역사는 길다. 평균 12만명의 주민으로 구성되는 지자체는 평균 18.3%의 소득세를 재정의 기반으로 의무 교육을 포함한 공공서비스를 주민들에게 제공한다. 단 대학 교육은 국가 즉 중앙정부에 의해 운영된다.
핀란드의 1인당 소득은 2004년 기준으로 27,400달러이고 첨단 산업 분야의 수출의 비중은 지난 40년간 1%에서 55%로 급증하였다. 이러한 성공의 원인으로는 호의적인 기업환경, 훈련된 노동자, 경제 정책의 투명성과 사법제도의 청렴성을 꼽지만 무엇보다도 질 높은 교육 제도가 사회경제적 세계화의 가속화의 주요 원인으로 손꼽힌다..

1.2 종합적 교육
  핀란드 교육의 주요 목표는 연령, 주거, 경제적 지위, 성, 언어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들에게 높은 질의 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는데 맞춰져 있다. 결국 모든 아동들은 취학 이전부터 무료로 교육과 급식을 누릴 수 있으며 심지어 전국적으로 있는 십 여개의 사립학교의 학생들의 경우도 중앙정부나 지방 정부의 무상교육 혜택을 차별 없이 누릴 수 있다.
  무상교육의 경우 많은 다른 나라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핀란드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성은 몇 가지가 있다.
1.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는 의무교육 제도 (평균적으로 생후 만 7년 이후 시작, 단 취학 이전에는 다양한 형태의 탁아와 육아 제도가 중앙과 지방정부에 의해 운영)
2. 학생들의 성적이 높고 낮음에 의해 가르지 않고 ‘종합학교’를 통한 통일된 교육
3. 높은 수준의 학교 차원에서의 자율 운영( 수업일수 190일, 주 5일 수업 정도의 공통된 학사과정을 제외하고 강요된 교육과정이나 기준화된 시험제도(일제고사 등등)이 없다.)
4. 학급의 학생 수에 대한 통일된 규정이 없으며 주당 19시간에서 30시간까지의 수업 시수가 자율적으로 운영된다.
5. 9년간의 기본 교육을 마친 학생들은 본인들의 수행능력과 적성에 따라 일반계 상급학교(전체 상급학교 학생의 54%)나 직업계 상급학교(37%)에 진학한다.
6. 상급학교 진학학생들은 대다수의 국가들의 학생들과 달리 학생 스스로 학습 계획과 진도를 학교에서 제공되는 교육 과정에 의거하여 스스로 결정하고 자율적으로 진행을 한다. 이 과정에서 학교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어떠한 시험과 등급은 존재하지 않으며 학생에게 요구되는 학습 과정을 마친 다음 ‘국가 대학입학 자격 시험’을 치루게 된다.
‘성적 등급 없는 학교’라는 개념은 학생들의 책임성을 고양함을 물론 졸업 이후 사회에 나가서도 계속적으로 학생 본인의 결정과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 개념은 현재까지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어 현재 60%이상의 젊은이들이 20개의 대학과 29개의 폴리테크닉에 진학을 하고 있다.

1.3 대학입학 자격 시험
  일반계 상급학교에 진학한 학생들은 정규과정을 마치게 되면 대학입학 자격시험에 참여할 수 있다. 직업계 상급학교의 학생들에게는 국가 수준의 졸업 시험은 없다.
  1852년 라틴어 지식과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헬싱키 대학의 입학시험이 대학입학 자격 시험의 연원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자격 시험의 목적은 대학 진학에 있어서의 학생 개개인의 적정한 지적 성숙도의 평가에 있다.
  최소 4과목의 시험을 통과한 학생들은 상급학교 이상의 대학수준의 고등교육에 진입할 수 있다. 봄과 가을 두 차례 치러지는 시험을 통해 학생들은 연속 3번의 시험 기회가 있는데 이 시험을 통해 최소 한 과목은 통과 되어야만 한다. 시험은 모국어는 필수이고 , 제2 국어(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 외국어, 수학 그리고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등의 일반 과목 이렇게 4가지 영역에서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수학과 외국어 영역에 있어서는 두 종류의 레벨( 상급, 보통) 평가가 있고 제2국어의 경우에도 상급과 중급 평가가 있다. 대학입학 자격 시험에 통과한 학생들은 이전에 치르지 못했던 영역의 추가 시험을 통해서 점수를 추가 할 수도 있다. 시험의 과목별 평가 척도는 7가지 단계가 있다.
  직업 상급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는 전국차원의 시험이 없지만 직업 상급학교 수준의 숙련도와 지식에 대한 수행 평가가 있다. 학생들은 자기 수행평가와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측정되는데 이 측정의 목적은 긍정적 자기 이미지 고양과 성장에 있다. 전국 차원의 시험이 없기에 국가교육위원회에서는 개별학교 차원의 수행 평가의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규정과 권고안을 제공하고 있다.

1.4 교육 개혁의 국면들
제 1국면(1953-61) 급속한 산업화의 시기
제 2국면(1961-73) 구조의 변화 시기 : 이촌향도가 급증하면서 고등교육 노동력의 수요
제 3국면(1973-79) 교육부문에 대한 공적 서비스 주목 받으면서 직업 교육 확대, 강화
제 4국면(1979-88) 경제 성장기: 교육에 의한 성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시기적으로                      일치한다.
제 5국면(90년대 초반) 경제침체기 : 교육부문에 대한 예산 축소, 고등교육 취학 증가
제 6국면(90년대 중반 이후) 위기 속에 경제의 자유화는 교육제도와 정책의 변화를 수반

1.5 2차 대전이후의 상황
  2차 대전 진행과 그리고 종전은 핀란드에 있어서 많은 역경을 가져다 주었다. 제한된 평화속에서 전비를 지불해야 했고 소련에 군사기지도 제공해야만 했다. 이런 조건은 목재 산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급격한 산업화로의 전환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지만 동시에 인구의 10% 이상이 되는 참전군인, 상이군인과 그 가족 등의 생계를 위한 가족 농장 중심의 토지 재분배를 통한 농업 계획도 병행하도록 만들었다. 결국 이러한 전쟁의 결과는 주변 국가들의 경제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 상황을 만들었고 국민들로 하여금 현재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는 있었지만 전통적 노동 분업에 충실한 학제 두가지 분리된 트랙제가 유지 되었고 교육 개혁은 사회적 구조적 변화 이후로 연기되었다.
핀란드 역시 여타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경제 성장을 국가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전통적 가족 농장 형태의 농업경제는 곧 한계를 드러냈고 심각한 이촌향도 현상과 아울러 외국으로의 이민현상이 속출하였다. 이러한 ‘엑소더스’는 사회적 불안과 불안정성을 가중시켰으며 이런 사회 경제적 변화는 정치영역의 변화를 가져왔다.

1.6 1960년대의 교육 개혁의 정치 경제적 맥락
  1966년 총선을 통해 좌파 정당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서 정치영역에서의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좌파 연합은 총선이후 정부를 구성하고 교육개혁을 일차적 목표로 삼았다.
노동분업에 충실한 불평등한 그리고 제한된 두 가지 트랙의 학제는 기회의 불평등이외에 경제 성장에 방해가 된다는 공통의 시각이 확산되면서 좌파 연합 정부는 66년 종합학교 개혁을 정치적 의제의 핵심으로 선점한다.
  아울러 활발해진 노동조합의 활동은 기존의 명목임금 투쟁에서 벗어나 교육, 의료등 공공부문의 서비스 확대 투쟁으로 전개되면서 법제화를 위한 대정부 압박이 강화되었고 이러한 차원에서 교육개혁이 여론에 회자되기 시작한다.
  60년대 반전평화운동을 시작으로 불어닥친 기존의 전통 가치를 부정하는 젊은 세대들의 자기 표현과 해방 운동 역시 고려되어야한다.
소련에 편중된 경제 구조를 벗어나기 위해서 서유럽을 향한 시각이 전환이 일어나고 각종 외교적 채널을 통해 유럽 국가들과의 협력이 확대되면서 롤 모델로서의 스웨덴의 사회 경제 체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다. 교육 개혁의 모델로 북유럽 복지 국가 형태가 주목 받게 된다.
  결국 60년대의 급진적 사회경제적 변화는 기존의 교육 제도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

1.7 초기 정책의 원칙들 : 길이와 정의
  입안자들과 교육자들은 광범위한 국민적 동의와 지원에 힘입어 63년 종합학교 모델을 교육개혁에 사용하도록 법제화에 성공한다.. 아울러 종합학교에 맞는 교사양성 체제가 64년 구축되었으며, 66년 이후 고등교육(일반계 상급학교와 직업계 상급학교 모델)에 대한 개혁 작업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현실화 되었으며 같은 해 부터 대학 교육에 대한 개혁도 시작이 되었다.

2. 개혁 원칙들

2.1 종합학교 개혁 : 세 갈래의 접근
  사회적 공공 서비스의 요구의 확대,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의 교육의 중요성 부각 그리고 미래 세대에 대한 공적 가치 고양이라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60년대 중반 핀란드는 근본적인 교육 제도의 재구조에 들어간다. 이런 재구조는 1. 초등학교의 보강 2. 중학교에 대한 보강, 3. 교원양성 체제 손질 등 세 갈래의 접근으로 살펴볼 수 있다.
  전통적인 학제를 대신해서 종합학교가 도입되면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에 대한 업무와 교사 양성 제도의 정비 등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두가지 트랙에 있는 학교에 근무하는 기존의 교사들 사이에 존재하는 임금과 처우의 차이와 두 교원단체의 소속 교사들간의 차이 등등을 극복하고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 수행이 이후 교육 개혁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전문성과 수행이 종합학교 개혁의 시작 전에 이미 개혁 수립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이용되었으며 개혁의 진행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역할을 하였다. 이런 교사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극복하고 교사들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 수 있었던 것은 핀란드가 가지고 있는 ‘계약’ 전통에 기인한다.
정부와 노동자 그리고 경영자로 구성된 3자 협의체는 많은 토론과 협의를 통해 개혁의 입안에 모두 동의했으며 개혁의 진행 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후 개혁의 성패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2.2 새로운 교육과정 : 다양성과 학문의 깊이를 향해서
  우선 교육과정은 교수 학습의 목적 뿐 아니라 교육 주제를 기술하고 있는 문서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교육과정은 그 자체가 교육 정책의 중요한 도구이자 교육 개혁의 대상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은 과거의 낡은 전통(사회 경제적 계급이나 능력으로 학생들을 두 가지로 구분하기)를 깼을 뿐 아니라 민주주의, 평등, 그리고 개인적 자유와 같은 새로운 가치를 도입하게 만들었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작업은 65년에 시작하여 5년간에 걸쳐서 심도 깊게 논의 되었으며 사회의 변화와 학생들의 능력과 새로운 환경에 따른 교육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중앙 차원에서의 교육과정의 수립과 보급은 기존의 전통적 교육 체제와 상치되는 부분이 있어서 우려가 되었지만 일반적 교육 과정 이외에 대한 재량권 부여 등으로 단위학교의 자율과의 충돌을 최소화하려고 하였다.

2.3 교육 계획의 시범 실시
  종합학교 개혁은 사회 정책의 전환의 중요한 전환을 상징한다. 더 나아가 핀란드 사회의 민주화와 과거 전통적 계급 구조와 경계의 전면 노출과 충돌을 보여주었으며 격렬한 정치적 투쟁을 야기하였다.
  결국 개혁은 인구밀도가 희박하면서 과거 교육 인프라가 낙후되었던 북부 지역을 시작으로 점진적 단계적으로 시행되면서 지역별로 차이를 두고 파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 정부는 입법의 스케줄에 맞추어 통제를 하면서 지방 정부 차원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과 그에 따른 불협화음과 논쟁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면서 계획적으로 진행되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2.4 개혁의 비용
  종합학교에 대한 개혁이 단계적으로 시행이 되면서 시행에 따른 재정 지출도 증가하게 되었다. 초기의 시작 단계에서 벗어나 대도시로의 확대와 사립학교에 대한 국가 전액 지원이 시행되면서 재정지출은 정점을 이루게 된다.
  물론 베이비 붐 세대의 사회 진출과 취업 그리고 학령 아동의 감소 등 인구학적 변화는 재정 부담을 점차 감소시켰지만 여전히 ‘비싼’ 새로운 종합학교 개혁에 대한 재정 지출에 대한 비판을 동반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8 [권두언] 문제는 우리의 주체적 투쟁과 실천이다 file 진보교육 2010.07.16 1435
587 [진단과모색] ‘진보교육감 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file 진보교육 2010.07.16 1364
586 [기획] 암울한 한국 대학의 현실, 개편의 상과 경로 file 진보교육 2010.07.16 1503
585 [기획] Ⅱ.대학개혁의 상과 경로 file 진보교육 2010.07.16 1303
584 [기획] Ⅲ. 대학개혁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file 진보교육 2010.07.16 1289
» [연재 번역] 1968년 이후 핀란드 초·중등 교육 file 진보교육 2010.07.16 1473
582 [초점] MB교육대운하공사를 중단하라! file 진보교육 2010.07.16 1130
581 [스케치] 우리 그냥 정치하게 해줘! file 진보교육 2010.07.16 1104
580 [스케치] 우리 그냥 정치하게 해줘! file 진보교육 2010.07.16 1101
579 [논단] 한국 학생평가의 문제점과 새로운 평가패러다임 file 진보교육 2010.07.16 3155
578 [담론과 문화] 맘마미아, 이 한심한 음악을 어쩌면 좋아 file 진보교육 2010.07.16 2145
577 [담론과 문화] 우리는 누구를 연민한 적이 있었던가? file 진보교육 2010.07.16 1557
576 [현장에서] 2010년, 교원평가하는 학교에서 교사로 살아가기 file 진보교육 2010.07.16 1681
575 [기고] 지방선거 이후 노동운동 방향과 과제 file 진보교육 2010.07.16 1206
574 [기고] 가르치는 사람은 교원이다 file 진보교육 2010.07.16 1330
573 [쓰레기] 진보교육감 때리기 나선 수구언론 file 진보교육 2010.07.16 1135
572 [권두언] 자본으로부터의 자유, 인간의 길을 가기 위해 file 진보교육 2010.04.21 1452
571 [특집] 신자유주의 시대의 평가 시스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file 진보교육 2010.04.21 1869
570 [특집] 비고츠키 교육학의 ‘평가 패러다임’ 그리고 ‘교원평가 file 진보교육 2010.04.21 2274
569 [특집] 교원평가의 교육이론적 타당성 검토 file 진보교육 2010.04.21 1710